미국에선 팀워크와 스포츠맨쉽 없이는 리더가 되기 힘들다.

해외생활을 해본 이들에게 이런 체험은 흔하다.

스웨덴 학교는 점심시간이 90분, 쉬는 시간이 각 30분이다. 쉬는 시간은 공부금지다. 교사가 문을 잠가버린다. 맑은 공기 마시며 뛰어놀라는 것이다.

프랑스 교육행정엔 '체육은 프랑스어,수학과 비중이 같아야 한다'는 규정이 있다.

독일 고3에게도 영어는 선택, 체육은 필수다. 

핀란드는 아예 체육수업을 학생의 기본권으로 본다.

가까운 일본만 해도 고3까지 주4회 체육수업이 의무다.

씁쓸한 건, 입만 열면 글로벌 리더 양성을 외치는 우리 교육이 이런 글로벌 스탠더드로부터는 갈수록 멀어지고 있는 점이다.

...세계 명문교들은 하나같이 체육을 중시한다. 

단결력, 절제력, 인내심, 자기 희생의 용기와 깨끗이 승복하는 자세, 약자에 대한 배려를 몸에 배게 하기 위해서다. 

우리는 교장, 학부모가 나서 체육수업을 막는다. 인성이든 체력이든 일단 좋은 대학만 붙으면 그만이란 식이다. 이는 학교폭력을 심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 중앙일보 1월18일자 기사<십대에게 체육을 허하라>중에서 

 

중앙일보 이나리 기자의 글을 읽고 찌익 오려서 스크랩을 했다.

 

'체육없는 시간표, 갇힌 아이들. 

에너지 ,스트레스 발산할 길 없어.

"운동해야 뇌도 발달"교육의 정석'

 

학교폭력을 해결한답시고 상담교사를 늘리고 처벌을 하겠다는 건 예방이 아니라 후속조치이다.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예술수업과 체육수업의 부활을 주장하는 나 역시 이나리 기자와 생각이 같다.

체육을 통해 에너지를 발산하고,

예술을 통해 감성을 다스리는 교육을 했으면 한다.

특히나 예술은 예쁘게 그리는 것이 아니라 관찰을 하고, 생각을 하는 철학으로 접근했으면 한다.

예술교육은  내면의 힘을 키워서 보다 고상한 삶을 바라보게 한다. 자신의 에너지를 폭력이 아닌 새로운 언어로 표현할 수 있음을 베우게 된다.

학교 폭력,왕따의 문제에는 인성이 빠진 입시위주의 수업방식 뿐만 아니라 교사의 무관심도 믄제라고 한다.

새로운 교육감이 교사의 체벌을 금하면서 교사는 더더욱 무관심의 상태로 빠졌다고 입을 모아 말한다.

 그렇디면, 오히려 교권을 주면서 인성교육으로 제대로 이뤄질 수 있게 교사의 자격과 교사 교육을 체계적으로 잡아야 하지 않을까. 오장풍 교사나 성폭행 교사의 전근처럼 자격없는 교사들을 처벌하는 일부터 해야 하지 않을까.

 

1학년때 3년치 체육점수를 미리 따놓고 본격적으로 입시에만 매달리게 하는 교육현실은 분명히 바뀌어야 할 것이다. 

김연아 선수가 체육인으로서 스스로를 극복하고 단련하며 세계인으로 성장한 본보기를 보면,

또한 기술 뿐 아니라  예술적인 표현력이 더해짐으로 더욱 위너가 된 그녀를 보면,

체육과 예술교육의 중요성은 헛소리가 아닐 것이다.

이제는 예전처럼 명문교,고학력자가 리더가 아니다.

창의적이고 예술적이며 감성으로 사람을 아우르는 리더가 주인공이 될 것이다.

 

 

   

'생각이 많은 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방치기  (0) 2012.02.09
미술교육  (0) 2012.02.07
낭비  (0) 2012.01.20
학교 폭력  (0) 2012.01.14
초등학생 사회범죄   (0) 2012.01.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