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초코를 데리고 난파콩쿨이라는 큰 대회를 다녀왔다.

콩쿨은 이것으로 세 번째인데 19명 중에서 4등까지만 상을 준다.

초코의 연주가 끝나는 순간, 아!수상은 힘들겠구나하고 생각했다.

당연하다.

하루에 한 시간도 피아노를 안 치고, 입시를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고,

아직까지는 아이를 몰아 붙이지 않고 여유롭게 놔두다보니 

입시를 목적으로 달리기 시작하는 아이들의 수준과는 차이가 난다.

곡 해석력과 감성은 좋지만 가벼운 건반으로 부담없이 연습하다보니 텃치에서 밀리는 걸 느꼈다.

손가락의 힘을 위해, 피아노도 바꾸고, 체력도 키우고,

서서히 연습량도 늘려야 함을 깨달았다.

 

다시 또 갈림길에 선다.

학원을 보내서 학습을 보충하느냐마느냐 등의 사소한 선택에서,

이제는 진로를 놓고 또 다시 갈림길에 선다.

음악이란 미술과 달리 부모의 뒷받침이 참 중요한 것 같다.

유능한 선생님, 레슨비 조절, 악기의 교체, 체력 관리 등...

초등 대안학교를 알아볼 때, 부모의 희생이 전제조건인 것에 참 짜증이 났었는데말이다.

 내 일을 제쳐놓고 자식에 올인하는 부모가 되기엔... 

나는 너무 회의적이고 자기 중심적이고 자아가 강하다.

 

남들이 하지 않는 방식으로 수풀을 헤치며 길을 만들고 싶다.

음악하면 말이야, 이래야 돼..어쩌고 저쩌고하는 고정관념과 관습들말고

나와 아이에게 맞는 길을 걷고 싶은 것이다.

그러다보니 의논 상대도 없고, 골치가 아프고, ..

정작 나 자신에게 에너지를 온전히 집중하기도 힘들다.

.

.

연주자의 길만 고집한다면 지금부터 애를 좀 볶아야겠지.

하지만... 아직까지는 어느 하나의 길을 놓고 전력질주 시키고 싶진 않다.

아직까지는 예술가의 길을 걸을 것이라는 큰 틀 만으로도 감사하고 기쁘다. 

천천히...조기교육이 열풍인 한국의 교육현실과 음악계에서,

천천히 한 계단 한 계단 밟아가고 싶다.

아직은 좀  더 지켜 보면서, 음악을 얼마나 사랑할 수 있는지 아이를 지켜보고 싶다.

 

 

  

 

'생각이 많은 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악교육  (0) 2013.10.30
아웃사이더  (0) 2013.09.02
한국의 엄마들2  (0) 2013.05.25
여행  (0) 2013.01.09
행복의 조건  (0) 2012.10.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