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태마을의 개념과 특징
생태마을이란 마을의 공간구조와 생태계, 그리고 마을내의 건물과 시설이 친환경적으로 되어 있으며 마을주민들의 생산방식이나 생활양식까지도 친환경적으로 이루어지는 마을을 의미한다. 몇 년 전부터 시범적으로 조성해 가고 있는 농촌문화마을과의 차이점은 농촌문화마을은 상하수도, 오폐수시설등의 생활기반시설과 마을회관, 어린이 놀이터등의 편익복지시설 뿐 아니라 경지정리, 용수개발등 생산관련시설을 확충해 주고 현대식 주택신축 등의 신주거단지개발사업에 의해 조성된 마을로서 농어민과 도시민이 함께 살 수 있는 전원마을(임승빈외, 1995)인 데 반해 생태마을은 마을의 공간적 환경과 사회적 환경을 농촌의 자연생태계와 조화를 이루도록 조성하여 환경친화적인 생활을 할 수 있는 마을이다.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환경보전형주거단지와의 차이점은 환경보전형주거단지는 도시주거단지를 주로 염두에 두고 자연조건의 활용을 극대화하고 건축과 자연환경이 공생할 수 있으며 자원 및 에너지를 절약하고 물질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5) 주거단지를 친환경적으로 조성한 단지인 데 반해 생태마을은 농촌마을을 주대상으로 하여 농촌의 생활환경 뿐 아니라 농업생산활동과 생활양식까지도 친환경적이 되는 마을을 말한다.
2. 생태마을의 구성요소
농촌에 조성되는 생태마을은 마을의 생태계라는 관점에서 고찰하면 여러 가지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즉 자연환경, 주민, 생활공간, 생산공간, 마을조직, 마을공동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기본이 되는 요소로는 자연환경을 들 수 있는 데 농촌환경자체가 자연환경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생태적인 관점에서 보면 자연환경이 생태마을의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생태마을의 또 다른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는 주민을 들 수 있다. 주민들의 생활양식이나 태도, 생산활동등이 생태마을의 오염을 유발시킬 수도 있고 친환경적으로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주민들의 가치관과 환경에 대한 인식정도가 매우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생태마을의 생활공간은 마을의 인공적인 요소로서 생활공간 자체가 친환경적으로 조성되는 것이 생태마을에서 지향하는 방향이라고 볼수 있다. 또 하나의 요소인 생산공간은 농업생산을 위한 농경지를 말하는 것으로 농업활동이 어떻게 이루어 지느냐에 따라 환경오염을 유발하기도 한다. 마을조직은 마을의 사회적 조직을 말하는 것으로 이들 조직이 친환경적 생활양식을 형성하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마을공동체는 마을주민들의 자발적이고 심리적인 동질감을 갖게 하는 우리 동네라는 사회적공동체를 말한다. 생태마을은 생활양식의 변화뿐 아니라 사회공동체의 동네의식과 마을주민들간의 유대관계가 중요한 요소가 된다. 생태마을은 마을구성원들의 공동체가 잘 이루어졌을 때 생태마을조성이 용이해지며 생태적 삶을 영위하는 것도 쉬워진다.
3. 생태마을을 조성하기 위한 생태계획의 기본목표
생태마을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생태계획 및 설계가 이루어져야 하는 데 생태설계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설계라고 할 수 있다.(Sim Van der Ryn & Stuart Cowan, 1996) 첫째는 그 지역의 토착적인 공간적 특징이나 재료등으로 이루어져 그 지역의 고유한 특징을 갖는 설계를 말하며 둘째는 자연의 과정(nature's process)에 효율적으로 적응하고 통합하는 설계를 말한다. 셋째는 설계가 생태과정(living process)에 통합됨으로서 환경적으로 훼손을 일으키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설계이다.
생태설계와 유사한 개념으로 녹색설계(Green Design)와 지속가능한 설계(Sustainable Design), 환경적으로 민감한 설계(Environmentally Sensitive Design)라는 개념도 이용하고 있다(양병이, 1995). 지속가능한 설계란 생물학적 다양성과 환경적 통합성을 유지하고 대기, 물, 토양의 건강에 기여하며 생물지역의 조건을 반영하도록 설계와 건설을 통합하고 인간의 이용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U.S., National Park Service, 1993).
생태마을을 조성하기 위한 생태계획에서 달성되어야 할 목표는 다음과 같이 크게 네가지를 설정할 수 있다.
가. 물질순환이 원활한 마을
물질순환이 원활하게 되면 환경오염물질의 배출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완벽한 물질순환만 일어난다면 환경오염물질의 배출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질순환이라는 개념은 물의 재순환, 자원의 재활용, 쓰레기의 재활용 등을 의미한다. 이미 독일이나 호주와 같은 선진국에서는 물을 재순환해서 이용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는 바 빗물을 받아 재활용한다든지 중수도시설을 설치하여 오수를 정화하여 재이용하고 있다.
자원의 재활용을 위해서 건축자재를 재활용이 가능한 자재를 이용해 건물을 짓고 건물의 수명이 다해 건축물을 철거하는 경우에는 폐건축자재를 재활용할 수 있다. 이와같이 물질순환을 많이 하면 할수록 마을의 생태계내에서 물질이 순환되기 때문에 마을외부로 오염물이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물이나 에너지 및 자원의 소비절약을 가져올 수가 있다.
나. 에너지와 물, 식량 등의 자급자족을 이루는 마을
생태적원리에 의하면 생태계가 안정상태로 가는 것이 바람직하며 마을의 생태계가 안정이 되기 위해서는 외부로 부터 에너지나 식량, 물을 의존하지 않고 자급하는 것이 생태계가 안정될 수 있다. 농촌마을은 도시보다는 에너지나, 물, 식량 등을 자급하기 용이한 여건이기 때문에 생태마을의 잠재력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생태마을이 되기 위해서는 오염없는 청정에너지를 이용하는 마을이 되어야 한다.
다. 자연생태계가 잘 유지되는 마을
농촌마을의 자연생태계가 훼손되지 않고 잘 유지되는 마을을 조성하는 것이 생태마을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 마을의 주택이나 도로, 기타 인공시설들이 마을의 자연생태계와 조화되도록 해야 하고 농업생산활동등도 자연생태계와 조화되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농촌의 자연생태계와 조화되도록한다는 것은 자연생태계의 생태적질서를 훼손하지 않는 것 뿐 아니라 자연경관의 미적질서까지도 훼손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라. 환경오염을 유발시키지 않는 마을
농촌마을의 농업생산활동이나 주거활동에 의해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는 마을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흔히 농업생산활동 즉 농약이나 비료, 축산폐수, 폐기물등에 의해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사례가 많은 데 이를 방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농촌마을의 생활오수나 쓰레기에 의한 환경오염도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4. 생태마을로서 조성할 잠재력이 많은 후보지
전국의 모든 농촌마을을 생태마을로 조성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가장 잠재력이 높고 여건이 좋은 후보지를 선정하여 생태마을을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태마을로 조성하기 좋은 그리고 조성할 필요성이 높은 후보지로는 상수원보호구역내의 마을과 그린벨트내의 마을, 자연환경을 보존해야 할 지역주변의 마을, 임상이 수려한 숲의 주변마을, 전원주택단지등을 들 수 있다.
상수원보호구역내의 농촌마을은 상수원의 수질보호를 위해 많은 규제를 받고 있으며 특히 수질오염을 일으키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생태마을로 조성하여 환경오염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게 바람직하다.
그린벨트내의 마을도 그린벨트의 녹지를 보존해야 하는 여건을 고려하고 개발을 규제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생태마을로 조성해야 할 필요성이 높은 후보지이다. 자연환경을 보존해야 할 지역의 주변은 자연환경보존지역의 생태계를 보존하기 위해 완충지역이 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의 농촌마을은 생태마을로 조성하는 것이 자연환경보존지역의 생태계를 보존하는 데 기여할 뿐 아니라 완충지역의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임상이 수려한 숲의 주변마을도 생태마을로 조성할 잠재력이 높은 지역이라고 할 수 있는 데 이는 숲의 생태계와 인접해 있기 때문에 마을의 생태계를 숲의 생태계와 연결이 가능하고 인접마을이 생태마을로 조성됨으로서 숲의 생태계를 보호해 주는 기능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농촌마을에 전원주택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 많이 이루어 지고 있는 데 이들 지역도 생태마을로 조성할 필요성이 있는 지역이다. 전원주택단지는 입지조건상 자연환경이 수려한 지역을 찾아가기 때문에 생태마을의 잠재력이 높은 지역이고 전원주택단지가 잘 못 조성되면 수려한 자연환경을 훼손시킬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생태마을로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우리나라 전통마을의 생태적원리
우리나라 전통주택과 마을은 생태적인 관점에서 보면 많은 부분에서 생태마을의 조건들을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 전통주택과 마을은 다섯가지 관점에서 생태적인 배려를 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 첫째는 기후에 적합한 건축을 하였으며 둘째는 건축재료의 관점에서 생태적인 재료를 사용했으며 셋째는 에너지손실방지 및 보존을 위한 관점이고 넷째는 물질순환이라는 관점이며 다섯째는 생태계와 공존하는 자연관이라는 관점에서 배려를 하고 있다(이은희, 1995).
기후에 적합한 건축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마루와 온돌을 설치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우리의 여름과 겨울이라는 기후조건에 맞추어 여름에 적합한 마루와 겨울을 대비해 열효율이 높은 온돌을 이용하고 있다. 건축재료의 관점에서 보면 초가집의 경우는 지붕은 볏집으로 이루어져 농업용 부산물을 재활용하고 있으며 벽은 황토흙을 이용함으로 농촌지역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고 있다. 건물의 골조는 목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주춧돌은 그 지역의 돌을 사용하고 있어 모든 재료를 농촌의 산이나 하천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토착재료를 사용하고 있다.
초가집은 건축재료 자체가 볏집, 나무, 흙등의 자연재료이기 때문에 환경오염의 피해가 없을 뿐 아니라 초가집의 해체시에 재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자연재료의 특성상 단열효과와 습도조절효과가 높으며 실내 공기오염등의 부작용이 없어 건강에도 좋다. 셋째로 에너지 손실방지 및 보존을 위한 관점에서 살펴보면 남향의 건물배치를 하여 태양열을 최대한 활용하도록 하였으며 건물의 배치가 여름철 바람의 이동통로를 막지 않도록 되었을 뿐 아니라 건물의 문과 창을 관통이 되도록 하여 바람이 실내를 관통해 흐르도록 함으로서 실내의 냉방효과를 거두었다. 넷째로 물질순환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초가지붕은 곤충의 서식이 가능하고 지붕의 수명이 다해 볏집을 폐기할 경우에 퇴비화시킬 수 있어 물질순환이 잘 이루어져 쓰레기발생이 되지 않는다.
화장실도 재래식 화장실이어서 분뇨를 부엌아궁이에서 나온 재와 섞어 거름으로 만들고 소변은 받아서 거름으로 사용해 왔기 때문에 수세식 화장실과는 다르게 물의 소비가 전혀 없으며 따라서 수질오염을 유발시키지도 않았다. 또한 가정에서 생활용수는 대부분 샘물이나 지하수를 사용하거나 빗물을 받아서 사용했기 때문에 별도의 상수공급시설이 필요치 않았으며 마을포장을 거의 하지 않아 지하수가 보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생활오수는 수로를 따라 흘러가다가 마을어귀의 미나리밭을 거쳐서 하천으로 유입하도록 되어 있어 그 과정에서 자연정화가 되도록 하였다. 각 가정마다 텃밭을 가꾸어 가정에서 먹을 채소는 손수 재배해 자급하였으며 담장은 토담이나 돌담등의 자연재료를 사용하였고 탱자나무등의 생울타리를 조성해 야생동물의 서식여건을 갖추어 주었다. 다섯째로 생태계와 공존하는 자연관이란 관점에서 보면 마을의 입지도 풍수지리를 고려해 배산임수의 자연지형에 순응한 터를 잡았기 때문에 자연훼손을 전혀 하지 않았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생태마을을 조성하는 데 있어서도 전통주택이나 마을에서 배려되었던 생태적인 요소들을 가능한 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6. 생태마을을 조성하기 위한 생태계획 및 설계
생태마을을 조성하기 위한 생태계획에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 마을의 공간배치, 도입되어야 할 생태계시스템, 조경, 생산활동, 생활양식, 물질순환구조, 쓰레기처리 및 오수정화, 에너지공급, 건물등을 들 수 있겠다.
가. 생태마을의 공간배치
(1) 자연에너지를 잘 이용할 수 있는 배치
생태마을이 추구하는 목표중의 하나가 에너지를 절약하고 자급하는 마을이기 때문에 가능한 한 오염없는 자연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자연에너지중 가장 활용가능성이 높은 태양열과 바람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마을의 배치단계에서 부터 고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태양열은 건물의 남향배치를 통해서 가능하며 약간 경사지인 지역이 태양열 흡수력이 높기 때문에 태양열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는 마을의 입지가 남향의 경사지를 택하여 건물을 남향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는 여름철의 바람의 이동통로를 막지 않으면서 겨울철의 바람은 차단이 되도록 건물과 수목의 배치가 이루어지는 게 바람직하다.
(2) 자연경관과 조화되는 배치
농촌지역의 준농림지가 개발이 허용됨에 따라 지난 몇년 사이에 농촌마을에 거대한 고층아파트가 들어서고 각종 음식점과 여관들이 들어서는 현상을 보이고 있어 농촌의 자연경관을 훼손시키고 있다. 생태마을은 농촌지역의 자연경관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건물의 형태와 규모, 재료등이 선택되어야 한다. 우리나라 전통마을이 자연경관에 순응해 배치되었듯이 생태마을도 자연경관에 잘 어울리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3) 오수와 쓰레기를 오염없이 처리할 수 있는 배치
생태마을은 오염을 유발하지 않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생활오수나 쓰레기와 농업쓰레기등을 오염없이 처리하도록 해야 한다. 생활오수의 자연정화가 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중수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마을의 배치단계에서 부터 고려되어야 한다.
(4) 자연생태계 질서를 훼손하지 않는 배치
그동안 농촌마을이 조성됨으로 인해 농촌의 자연생태계를 훼손시키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생태마을의 조성시에는 마을의 배치시에 자연생태계의 질서를 훼손하지 않는 배치가 되어야 한다. 마을의 입지시에는 자연생태계의 서식지를 훼손시키지 않도록 해야 하고 야생동물의 이동통로를 차단하지 않도록 배치해야 한다.
나. 생태마을에서 도입되어야 할 생태계시스템
생태마을의 생태계시스템은 크게 보아 네가지 시스템으로 설정해 볼 수 있겠는 데 첫째는 농업생산시스템이고 둘째는 농촌생활시스템이며 셋째는 자연생태계시스템, 넷째는 정주공간시스템이다. 이들 시스템들은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호영향을 받게 된다. 예를 들면 농업생산을 위한 물은 자연생태계에서 공급되고 논과 밭을 거친 물은 비료와 농약이 함유되어 자연생태계의 하천으로 흘러가 하천수질에 영향을 주게 된다.
생태마을을 조성하기 위해서 도입되어야 할 생태계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 자연에너지활용시스템
1) 태양에너지 활용 시스템
2) 풍력 및 지열 활용 시스템
* 자원절약 및 재활용시스템
1) 수자원 재활용 시스템
2) 쓰레기 재활용 시스템
3) 고효율 시스템
4) 백년주택구법
5) 환경보전형 건설시스템
* 자연친화시스템
1) 미기후를 고려한 배치기법
2) 그린네트워크 시스템
3) 생태녹화시스템 --비오톱 시스템
4) 자연순응형 배치기법
5) 야생동물과 인간이 공존하는 정주환경
6) 자연경관과 조화되는 아름다운 정주환경
* 유기농업시스템
1) 생산시스템의 유기화
2) 환경친화적 지력향상 시스템
3) 농업쓰레기 친환경적 처리 시스템
다. 생태마을의 조경
(1) 농촌마을의 자연생태계와 조화되는 조경
생태마을의 조경은 대상지역의 자연생태계와 조화되는 조경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흔히 조경사업을 한답시고 외래수종의 나무나 꽃을 심는 경우가 많은 데 생태마을에서는 오히려 그지역의 자생수종을 식재하고 야생화를 심는 것이 자연생태계와 조화되는 것이다.
(2) 농촌마을의 야생동물이나 곤충의 서식처를 제공할 수 있는 조경
생태마을은 인간과 야생동물이나 곤충이 공존하는 마을로 조성하는 것이다.
야생동물이나 곤충이 서식하기 위해서는 마을에 서식환경이 조성되어 있어야 가능하다. 따라서 야생동물들이 서식할 수 있도록 소생물권(Biotop)을 조성하고 조류의 식이수목을 식재하며 덤불숲을 조성하는 조경이 되어야 한다.
(3) 훼손된 생태계를 복원하는 조경
생태마을의 자연생태계가 완전한 상태로 보존되어 있지 않고 훼손된 지역이 있는 게 사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은 훼손된 생태계를 원래의 자연생태계로 복원해 주는 조경이 필요하다. 훼손된 생태계를 복원한다는 것이 쉬운일은 아니지만 장기적인 계획을 가지고 시도를 하게 되면 장시간이 흐르고 나서 복원이 될 수가 있다.